1. 왜 승인 거부가 늘어나는가?
최근 미리캔버스 콘텐츠 심사 기준이 강화되면서, 단순하거나 반복적인 디자인 요소에 대한 승인 거부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디자인허브를 통해 콘텐츠를 제출하는 디자이너들은 심사 통과 기준이 불명확하다는 피드백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본 글에서는 실제 거부된 예시를 기반으로 승인 거부 유형 13가지를 정리해, 기여자 분들의 콘텐츠 기획과 제작에 도움이 되도록 구성했습니다.
2. 승인 거부 사유 유형별 예시
① 스타일 및 완성도 문제
크레용 느낌, 낙서풍, 기호 위주의 요소는 ‘상업적 활용도가 낮은 저품질 콘텐츠’로 분류됩니다.
② 잘린 피사체
인물, 건물, 사물 등이 불완전하게 잘린 이미지는 ‘편집 완성도 부족’으로 거부됩니다.
③ 객체 분리 미흡
여러 개체가 한 이미지에 뭉쳐 있는 경우, 각 요소를 분리해서 제출하라는 안내와 함께 반려됩니다.
④ 피사체가 존재하는 배경
배경 이미지 제출 시 피사체(대상물)가 포함되면 거부됩니다. 벽지 무늬처럼 피사체 없는 패턴만 허용됩니다.
⑤ 배경 제거 불완전
PNG 또는 SVG에서 주변 경계선이 남아있거나 투명도가 불완전한 경우 ‘배경 제거 미흡’ 사유로 거부됩니다.
⑥ 재산권 침해 가능성
제품 모양, 상표, 브랜드 유사 이미지가 포함된 경우 저작권 침해 우려로 반려됩니다.
⑦ 콘텐츠 타입 오류
배경 이미지를 SVG 요소로 제출하거나 반대로 요소 이미지를 배경으로 제출할 경우 타입 불일치로 거부됩니다.
⑧ 중복 콘텐츠
기존 등록 콘텐츠와 동일하거나 유사도가 높은 경우 중복 요소로 자동 거절됩니다.
⑨ SVG 색상 수 초과
SVG 요소는 기본적으로 색상 5개 이하로 제한되며, 이를 초과하면 승인되지 않습니다.
⑩ 잘못된 대지 크롭
PNG 요소의 썸네일이 작게 보이는 경우, 대지가 여백 없이 적절히 크롭되지 않았다는 사유로 거부됩니다.
⑪ 너무 단순한 요소
선, 도형, 화살표 등 사용자가 직접 쉽게 만들 수 있는 형태는 “기여 가치 부족”으로 거부됩니다.
⑫ 동일 콘텐츠 반복 제출
색상만 다르게 변경하거나, 미세한 형태 수정만 하고 재제출한 콘텐츠는 ‘유사 콘텐츠’ 중복 사유로 반려됩니다.
⑬ 키워드에 의한 저작권 침해
콘텐츠 내용은 문제없어도, ‘크록스’, ‘올림픽’, ‘월드컵’ 등 키워드 자체가 상표권 위반으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3. 승인 거부 방지를 위한 5가지 핵심 팁
- 템플릿/요소 유형을 정확히 구분하여 제출
- 배경 제거는 투명도 100%로 처리하고, 흐릿한 경계선은 피하기
- 객체는 반드시 개별 분리하여 사용자가 조합할 수 있게 구성
- 중복 제출 전 기등록 콘텐츠 검색하여 확인
- 제출 키워드에서 브랜드 및 상품명 제외
4. 승인된 콘텐츠도 나중에 비공개될 수 있습니다
미리캔버스에선 이미 승인된 요소라도 내부 기준에 따라 예고 없이 비공개 처리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별도의 안내 없이 비공개 상태가 유지되므로, 정기적으로 콘텐츠 목록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마무리: 거부 경험은 콘텐츠 퀄리티를 높이는 기회
미리캔버스의 콘텐츠 심사는 까다롭지만, 거부 사유를 잘 분석하면 콘텐츠 품질을 끌어올릴 수 있는 힌트가 됩니다.
단기적인 거부보다 장기적인 승인율과 사용자 반응을 생각하며, 반복되는 패턴을 줄이고 트렌드를 반영한 디자인을 추천드립니다.
Tags:
미리캔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