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툴디] 반려율이 크리에이터에게 미치는 불이익

툴디, 반려율이 미치는 불이익은?

툴디 크리에이터 활동에서 반려율은 중요한 지표입니다. 반려율이 높아질 경우 어떤 불이익이 따르는지, 그 영향을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반려율의 정의와 집계 방식, 그리고 높아졌을 때 발생하는 구체적인 불이익에 대해 상세히 설명합니다.

툴디의 반려율 표시 화면
툴디의 반려율 퍼센트 화면

반려율의 의미와 집계 방식

반려율은 콘텐츠가 실제로 '반려'된 건수의 비율을 의미하며, 수정 요청이 아닌 실질적 반려만 집계됩니다. 

반려된 콘텐츠는 전월 한 달 동안 발생하며, 익월 1일에 일괄 반영됩니다. 즉, 9월에 반려된 콘텐츠는 10월 1일에 반영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반영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는 시스템이 높은 반려율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높은 반려율이 초래하는 영향

반려율이 특정 기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내부 심사 시스템에 의해 다음 달 1일에 스탯포인트 차감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크리에이터의 등급 유지와 수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단, 정산이나 콘텐츠 노출에는 즉각적인 영향이 없으며, 오로지 내부 정책에 따른 포인트 관리에만 영향을 줍니다.


콘텐츠 수정과 반려율 관리

반려율은 콘텐츠의 '반려' 사실에만 집계되기 때문에, 단순 수정 요청이나 기타 편집 요청은 반영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창작자는 콘텐츠 품질을 높이고, 툴디의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리하면, 발생한 반려에 대해 적절히 대응하는 것만으로도 반려율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수퍼브 크리에이터 등급을 목표로 하는 크리에이터 작가분들이라면, 반려율을 신경 쓰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수퍼브 등급은 툴디에서 직접 심사를 하기 때문에, 반려율이 낮으면 좋았지, 높아서 좋을 건 하나도 없으니까요.

그리고 반려율을 관리하고 싶다면, 무엇보다도 AI 콘텐츠 이미지를 제출하지 않는 것이 제일 효과적입니다. 

다른 플랫폼과는 달리 AI 콘텐츠의 심사는 매우 엄격한 편입니다. 그만큼 관리가 잘 되고 있는 사이트라는 반증이 될 수도 있습니다. AI 결과물을 제출한다면, 제대로 출력이 되었는지 세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 [툴디] 크리에이터 기여자 등급 티어와 혜택 살펴보기


내용 요약

내용
반려율은 실제 반려 건수만 집계
익월 1일에 일괄 적용
높아지면 포인트 차감 가능
정산과 노출에는 영향 없음
수정 요청은 반려율에 포함 안 됨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