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작업에서 자주 접하는 벡터 이미지 포맷, 그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이 EPS와 SVG입니다. 두 포맷 모두 크기와 해상도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환경에서 활용할 수 있어 인쇄·웹 작업에 필수적으로 여겨집니다.
그렇다면 EPS와 SVG 파일을 변환하면 과연 품질에 문제가 없을까요? 실제 경험과 기술적 근거를 중심으로 한 번 정리해보겠습니다.
EPS와 SVG, 왜 서로 변환할까?
EPS는 인쇄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포맷으로, 전문 출력장비와 호환성이 뛰어납니다.
반면, SVG는 웹과 모바일에 적합한 XML 기반의 포맷으로, 다양한 크기와 디바이스에 맞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작업의 목적 또는 활용 환경이 바뀔 때 두 포맷을 서로 변환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벡터 파일 변환 시 품질 저하가 없는 이유
EPS와 SVG는 둘 다 도형, 곡선, 색상 등 정보를 '수식'으로 저장합니다. 이 때문에 두 포맷 간 변환 시 해상도 저하가 발생하지 않고, 이미지의 선명함이나 디테일이 그대로 유지됩니다. 벡터 이미지의 가장 큰 장점이 바로 이 '해상도 독립성'에 있습니다.
실제로 대다수 변환 툴이나 그래픽 소프트웨어(Adobe Illustrator, CloudConvert 등)를 사용해 EPS를 SVG로, 또는 SVG를 EPS로 변환할 때, 파일 포맷만 변경되고 실제 이미지는 손실 없이 유지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변환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점
모든 경우에 100% 동일하지는 않습니다.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는 일부 정보가 변형되거나 소실될 수 있습니다.
- 특수 효과, 필터 : EPS 파일의 투명도, 혼합 모드, 필터 등 고급 기능은 SVG에서 완벽하게 지원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폰트 : 내장 폰트가 변환 시 아웃라인 처리, 폰트 변경 등으로 표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문서 구조 : 복잡한 레이어, 그룹핑 구조는 단순화되거나, 일부 디자인 요소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런 특수한 예외를 빼면, EPS와 SVG 파일 변환 시에는 대체로 '품질 손실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변환 방법과 실무 팁
EPS와 SVG는 온라인 변환툴(CloudConvert, Convertio, Zamzar 등)이나 전문 그래픽 소프트웨어로 쉽게 변환이 가능합니다. 대부분 드래그앤드롭 방식이며, 배치 변환 등 효율적인 작업도 지원됩니다.
단, 복잡한 효과나 폰트, 다양한 문서 구조가 포함되어 있다면 변환 후에는 반드시 결과물을 Illustrator, Inkscape 등에서 한 번 더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특히 인쇄물이나 중요한 웹 결과물일수록 이 과정을 추천합니다.
파일 변환 후 선택, 어떻게 해야 할까?
- 웹, 모바일, 디지털 환경에는 SVG로 변환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 인쇄가 주목적인 디자인이라면 EPS를 유지하거나, 변환하더라도 결과물을 꼭 점검해야 합니다.
내용 요약
- EPS와 SVG는 둘 다 벡터 이미지 포맷으로, 포맷만 변환하면 일반적으로 품질 저하가 없다.
- EPS는 인쇄 환경, SVG는 웹·디지털 환경에서 각각 최적화되어 있음.
- 고급 효과나 특수 폰트, 복잡한 구조가 있다면 일부 정보 손실 가능성이 있다.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변환 툴로 손쉽게 변환 가능하며, 변환 후 디자인 프로그램으로 결과물 확인 권장.
- 작업 목적과 결과 사용 환경에 따라 포맷 선택 및 변환을 신중히 해야 한다.
구분 | EPS | SVG |
---|---|---|
주요 용도 | 고해상도 인쇄작업 | 웹/디지털, 아이콘, 애니메이션 |
품질 손실 | 거의 없음(예외: 특수 효과) | 거의 없음(예외: 특수 효과) |
파일 구조 | 바이너리 기반 | XML(텍스트) 기반 |
호환성 | 인쇄장비, 출판소, 전문소프트 | 웹브라우저, 디지털디자인툴 |
변환 난이도 | 쉬움 | 쉬움 |
이처럼 EPS와 SVG 파일은 변환해도 품질에 문제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작업 환경과 목적에 따라 꼼꼼한 확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