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리캔버스 공식적으로 공개된 정산 구조 시스템


1. 디자인허브 정산은 어떤 구조로 이루어지나요?

미리캔버스 및 비즈하우스를 통해 사용자가 콘텐츠(템플릿, 요소 등)를 다운로드하거나 구매하면, 이에 따라 기여자에게 일정 수익이 발생합니다. 디자인허브는 이를 콘텐츠 유형과 사용 라이선스에 따라 분류하여 기여도 기반으로 정산합니다.


디자인허브 정산 시스템
출처: 디자인허브



2. 콘텐츠 유형별 정산 구조

디자인허브에서 수익이 발생하는 주요 콘텐츠 유형은 아래와 같이 구분됩니다.

  1. 요소: 이미지, 아이콘, 벡터 등 개별 단위 콘텐츠
  2. 템플릿: 복합 구성의 디자인 콘텐츠 (포스터, 썸네일 등)
  3. 샵 상품: 실제 인쇄 기반 제품으로 판매 가능한 콘텐츠


3. 요소 수익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요소는 디자인 구성의 가장 작은 단위로, 단일 이미지나 아이콘을 의미합니다. 사용자가 다운로드하거나 디자인에 삽입할 경우 유효 사용으로 집계되며, 사용 라이선스(예: 구독, 단일, 인쇄)에 따라 단가가 자동 산정됩니다.

단가는 고정되지 않고, 전체 사용량과 기여율에 따라 상대적으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4. 템플릿 사용 시 수익은 어떻게 분배되나요?

템플릿은 다수의 요소와 텍스트가 포함된 복합 콘텐츠입니다. 다운로드 시 두 가지 수익이 발생합니다.

  • ① 템플릿 자체 사용에 따른 정산 (주로 구독 라이선스)
  • ② 템플릿을 구성하는 요소별 정산 (요소 단가 기준)

즉, 템플릿이 사용되면 템플릿 제작자 + 요소 기여자 모두에게 분배됩니다.



5. ‘샵 상품’은 어떤 수익이 발생하나요?

콘텐츠샵 등록 권한이 있는 기여자는 디자인을 인쇄 상품으로 등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실제 구매가 발생하면 다음 세 가지 수익이 발생합니다.

  • ① 상품 수익: 기여자가 설정한 판매 가격 기반
  • ② 템플릿 수익: 해당 상품에 사용된 템플릿 기준 정산
  • ③ 요소 수익: 템플릿 내 포함된 각 요소 기준 정산

이 방식은 복합 수익 구조로, 1회 판매당 다양한 기여자에게 분배됩니다.



6. 단가가 매번 달라지는 이유는?

기여자 수익은 정해진 단가가 아닌, 기여 비율에 따른 분배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사용자의 사용 방식, 사용 콘텐츠 조합, 라이선스 종류에 따라 매번 정산 금액이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요소라도 구독 라이선스에서 사용되면 단가가 낮고, 단일 판매나 인쇄 용도로 사용되면 더 높은 단가로 정산될 수 있습니다.



7. 유효 사용수 & 유효 다운로드란?

유효 사용은 실제 사용자가 실제 디자인 목적으로 콘텐츠를 사용했을 때만 인정됩니다. 단순 다운로드나 테스트 목적 사용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유효 다운로드: 실제 문서에 콘텐츠가 삽입된 경우
  • 유효 사용수: 사용된 콘텐츠가 사용자 최종 디자인에 반영된 경우

이는 불성실한 다운로드 유도 또는 부정 수익 방지를 위한 시스템입니다.



8. 나의 성과 페이지의 ‘사용수’는 어떤 의미인가요?

디자인허브 기여자 포털의 ‘사용수’는 실제 콘텐츠가 사용된 전체 횟수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수익은 ‘유효 사용수’를 기준으로 정산되기 때문에, UI 상 수치는 실 정산 수익보다 더 많을 수 있습니다.

예상 수익 단가는 보통 수익금 ÷ 유효 사용수로 계산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9. 결론: 투명하고 구조적인 정산 시스템

디자인허브의 정산 시스템은 콘텐츠 단위별로 기여도를 측정하고, 공정하게 분배하는 구조입니다. 단가가 일정하지 않다고 느껴질 수 있지만, 이는 다양한 사용 조건과 활용 형태를 반영하기 위한 합리적인 방식입니다.

꾸준히 양질의 콘텐츠를 등록하고, 사용자 니즈에 맞춘 디자인을 제공한다면 지속 가능한 수익 창출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