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즈 제작 & 판매를 위한 실전 가이드 – POD & 소량 제작 비교

굿즈 제작 & 판매를 위한 실전 가이드 – POD & 소량 제작 비교

 

팬이 생기고 그림이 알려지기 시작하면, 자연스럽게 굿즈 제작에 관심이 생기게 됩니다. 이 글에서는 POD(Print On Demand) 방식과 소량 제작 방식의 차이를 비교하고,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굿즈 판매 전략을 안내해 드립니다.

 

1. 굿즈 제작 방식 두 가지

굿즈를 제작하는 대표적인 방식은 두 가지입니다.

 

📦 1) POD (Print On Demand)

  • 고객 주문이 들어오면 자동 생산/배송되는 시스템
  • 작가는 디자인만 등록 → 제작, 포장, 배송은 플랫폼이 담당
  • 초기 비용 없음, 재고 부담 없음

 

📦 2) 소량 제작 (자체 주문/관리)

  • 제작 업체에 수량을 정해 미리 제작하고, 작가가 직접 판매
  • 퀄리티, 포장, 브랜딩 자유도 높음
  • 초기 제작비와 재고 관리 필요
굿즈 제작 & 판매를 위한 실전 가이드 – POD & 소량 제작 비교

 

2. POD 플랫폼 장단점

POD는 처음 굿즈를 시도하는 작가에게 매우 좋은 방식입니다.

 

🟢 장점

  • 초기 비용 0원 – 리스크 없이 시작 가능
  • 해외 판매도 자동 대응 – 언어/배송 걱정 無
  • 주문/배송 자동화 – 시간 절약

 

🔴 단점

  • 판매가 대비 수익률이 낮음 (보통 10~30%)
  • 퀄리티 직접 확인 어려움
  • 포장 커스터마이징 제한

 

✅ 대표 POD 사이트

  • Redbubble – 해외 팬 대상, 다양한 제품군
  • Society6 – 인테리어 중심 아트 굿즈
  • 마플샵 – 국내 POD, 한글 지원, 연동 쉬움

 

3. 소량 제작 장단점

팬층이 어느 정도 확보되었거나, 오프라인 행사 참여 예정이라면 소량 제작이 효과적입니다.

 

🟢 장점

  • 높은 수익률 – 직접 판매 시 마진율 ↑
  • 브랜딩에 유리 – 포장, 스티커, 카드 등 커스터마이징 가능
  • 직접 퀄리티 체크 가능

 

🔴 단점

  • 초기 제작비 발생 – 최소 수량 30~50개 이상일 수 있음
  • 재고 부담, 보관 공간 필요
  • 배송, CS 직접 대응 필요

 

✅ 추천 제작소

  • 비즈하우스, 디자인위드, 아트박스굿즈 – 국내 퀄리티 우수, 제작 의뢰 쉬움
  • 인스타그램 기반 공방 – 스티커, 엽서 등 소규모 굿즈에 적합

 

4. 어떤 방식을 선택해야 할까?

두 방식은 타깃, 자본, 작업 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선택하면 됩니다.

구분 POD 소량 제작
초기 비용 없음 발생
수익률 낮음 (10~30%) 높음 (직접 판매 시)
관리 부담 거의 없음 직접 포장, 배송
브랜딩 제한적 커스터마이징 가능
적합 대상 초보 작가, 해외 판매 팬층 있는 작가, 행사 참여

가장 좋은 전략은 POD로 시작하고, 소량 제작으로 확장하는 방식입니다.

 

마무리

굿즈 제작은 단순한 수익을 넘어서 팬과 연결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지금 당장 완벽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하나의 스티커, 엽서부터 시작해 보세요.

어떤 방식이든 중요한 건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고객 반응을 피드백으로 반영하는 것입니다.

👉 다음 글에서는 '일러스트 작가를 위한 마켓 준비 체크리스트'를 소개할 예정입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